에디터의 노트
매일 흙먼지를 뒤집어써도 즐겁던 초등학생 시절, 조금만 더 자고 싶던 주말 아침 “깨끗이 씻고 오라”는 부모님 성화를 못 이겨 찾았던 동네 목욕탕이 생각납니다. 학교 친구를 알몸으로 만나는가 하면, 온탕과 냉탕을 물개처럼 오가다 주인 아저씨에게 혼이 나기도 했죠. 어머니는 목욕탕에 다녀오신 날 유독 표정이 밝으셨어요. 집에서 못 다한 수다를 다른 아주머니들과 신나게 나눴기 때문이겠죠. 그 시절 참 그립네요.
그때 참 괜찮았지
온몸을 휘감은 찝찝함. 뜨끈한 물의 온도가 주는 안정감. 밀기 전까지는 몰랐던 몸 구석구석의 때. 쿰쿰한 물 냄새…
몸을 씻는 일은 사람의 본능이다. 청결한 몸이 머리까지 맑게 만든다. 어린 시절에는 집에서 했던 샤워만으로 충분한 것 같았다. 온탕에 몸을 푹 담그는 맛을 알기 전까지는 말이다.
몇 년 전까지만 해도 동네 목욕탕을 심심찮게 찾아볼 수 있었다. 간판에 쓰인 정확한 단어는 ‘대중목욕탕’. 목 좋은 곳에 자리한 목욕탕은 높게 뻗은 굴뚝을 뽐내며 명절이면 꼭 들려야 하는 곳, 아니면 적어도 한 달에 한 번 이상은 찾게 되는 신기한 곳이었다. 온탕과 냉탕을 기본으로 나무 향이 나는 사우나실, 탈의실 한복판에 자리해 손톱깎이가 놓여있는 평상, 미닫이문이 달린 냉장고, 목소리 큰 세신사 선생님이 있는 목욕탕은 딱히 좋은 건 없으면서도 막상 찾으면 마음이 참 편안했다.
친구네 집이 목욕탕을 한다고 하면 선망의 눈길로 바라봤다 대형 건물에 통째로 물을 데우는 설비와 탕을 들여놓고 직원 인건비까지 지불해 냈으니 무리는 아니었다. 발 디딜틈 없이 부대끼던 설 명절과 추석 명절, 주말에도 TV 리모콘 쟁탈전이 벌어질 만큼의 사람은 꼭 들어찼으니 겸양 섞인 주인장의 넋두리는 배부른 소리로 치부되기 일쑤였다.
세신사 선생님들도 명물이었다. 어떻게 손만 스쳐도 그리 깨끗한 사람으로 만들어주는지… 조금 아픈 것 같다는 생각은 잠시, 도자기 같아진 내 피부에 절로 고개가 숙여졌다. 몇몇은 때를 벗기는 실력뿐 아니라 세상만사를 그 어떤 코미디언보다 재미있게 알려주던 만담가이기도 했다.
특히 과거의 목욕탕은 지금의 대형 찜질방과 달리 그 동네 가족들이 행차하는 일종의 커뮤니티였다. 뜨거운 온탕에 발가락 하나를 조심스레 담글 때쯤, 같은 반 친구가 날 밀어 넣던 기억이나 옆집 아저씨와 바둑을 두는 아버지들, 다녀만 오면 뽀얀 얼굴을 뽐내던 누나와 엄마의 얼굴이 동네 목욕탕의 ‘기능’을 증명했다.
지금은...
대형 찜질방의 부상으로 동네 목욕탕은 하나 둘 씩 사라져갔다. 시설은 좋아졌지만, 마을버스 정도는 타야 갈 수 있는 거리가 됐고 아는 사람을 만나는 반가움보다 모르는 동네까지 왔다는 낯선 마음이 앞섰다. 목 좋은 곳에 자리했던 목욕탕은 오피스텔이나 상가, 프랜차이즈 점포에 자리를 내줬다.
원망스러운 코로나19는 숨 막히는 탕의 열기를 흉내 내듯 산업의 숨통을 조였다. 동네는 물론이거니와 대형 찜질방까지 무너뜨렸다. 같은 물속에 몸을 담그는 목욕이 집단 감염의 매개체로 지목됐다. 조금 답답하더라도 혼자 샤워를 하는 게 일상이 됐다.
점차 줄어드는 손님에 유지가 힘든 목욕탕 사장님들은 두 갈래로 나뉘었다. 버티거나 쓰러지거나. 버티더라도 이따금 찾아오는 단골손님이 잠깐 표정을 밝게 할 뿐, 끊임없이 돌아가는 보일러가 폐업 생각을 부추긴다.
행정안전부의 지방행정 인허가 자료를 보면, 현재 영업하는 전국 목욕탕은 6239곳이다. 찜질방과 사우나까지 포함한 숫자다. 서울은 757곳이 있는데 마지막 영업 허가를 낸 곳은 2021년 12월 한 호텔의 사우나였다. 2020년 서울 지역 목욕탕의 연간 물 사용량은 1516만5000톤으로 전년보다 504만4000톤 감소했다. 비율로는 4분의1을 덜 쓴 셈이다. 목욕탕이 사양산업인 건 부인 못 할 사실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