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신체적, 정신적으로 한창 성장하거나 무르익은 시기에 있는 사람을 뜻합니다. 통상적으로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시기를 뜻하기도 하지요. 이 청년 시절을 잘 보내야 안정적인 미래, 그리고 책임감 있는 사회 구성원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습니다.
서울시에서는 이와 같은 청년들이 인생에 한 번뿐인 중요한 시기에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그 중에서 청년의 주거수준 향상 및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한 사업, ‘청년월세지원’ 사업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청년들의 독립을 위한 ‘청년월세지원’ 사업!
청년들이 독립하기로 마음먹었을 때, 가장 먼저 ‘주거비’라는 문제에 직면하게 됩니다. 이제 갓 사회생활을 시작하는 청년들에게는 몇 천만원 하는 보증금이, 그리고 매달 꼬박꼬박 나가는 월세가 만만치 않은 부담으로 다가오지요. 특히 서울의 주거비는 누구나 다 알 정도로 사악한 수준입니다.
실제로 국토연구원 조사 결과에 따르면 청년들의 지방 월세 평균은 29만원, 서울은 49만원으로 매월 20만원이라는 금액이 차이가 납니다. 월세뿐만 아니라 보증금의 금액 차이 또한 무시할 수 없지요.
이에 서울시가 청년들의 안정적인 주거생활을 위해 ‘청년월세지원’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지원 내용 및 지원 대상에 대해 먼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청년월세지원’ 사업, 지원 내용 및 지원 대상은?
※지원 대상
지원 대상은 신청일 기준 서울시에 거주하는 만 19세~39세 이하 청년 1인 가구입니다. 또한 무주택자로 임차보증금 5천만원 이하, 월세 60만원 이하의 건물에 월세로 거주하고 있어야 하는데요. 보증금이 없어도 신청이 가능하나, 전세 계약은 신청 기준에서 제외됩니다. 주택과 비 주택, 그리고 고시원까지 동일하게 신청이 가능합니다.
소득과 관련해서는 가구당 기준 중위소득 120% 이하여야 합니다. 2021년 기준으로 1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 120%가 되려면 월 소득 금액이 2,193,000 이하가 되어야 하지요. 자신이 모든 기준에 부합하는지 하나씩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또한 위 기준을 충족하더라도 제외 대상자가 되는 사항도 알아두어야 합니다.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지원 내용
월 20만원 이하로 월세 비용을 지원해 주며, 최대 10개월을 받을 수 있습니다. 최대 금액이 200만원인 셈입니다. 만약 월세가 20만원 이하라면 실제 월세 금액만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월세가 10만원일 경우, 월 10만원만 지급된다는 것이지요. 또한 주택과 비 주택 구분 없이 생애 1회만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지원 대상과 내용에 대해 살펴보았는데요. 그렇다면 서울월세지원 사업은 어떻게 신청해야 하며, 신청 기간은 어떻게 될까요? 의문점에 대해 알아보며, 선정 방법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청년월세지원’ 사업, 신청방법 및 신청 기간은?
※신청방법
청년월세지원 사업을 지원하고 싶다면, 서울주거포털에 접속하여 ‘청년월세지원’ 란에 온라인 신청을 해야 합니다. 방문 접수 및 우편접수는 불가합니다. 제출 서류는 아래와 같습니다.
모든 서류는 주민등록번호 뒷자리가 보이지 않도록 제출해야 합니다. 반드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신청 기간 및 발표 일정
신청 기간은 2021년 3월 3일 수요일 10시부터 2021년 3월 12일 금요일 오후 6시까지입니다. 결과는 2021년 4월에 발표될 예정이며, 개별적으로 문자 발송됩니다. 또는 서울주거포털 청년월세지원 란의 마이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선정 방법
청년월세지원 사업은 월세 및 임차보증금 금액을 기준으로 3구간으로 나누어 5천 명 이내에서 선정할 예정입니다. 만약 신청 인원이 5천 명을 초과할 경우, 3구간 별로 무작위 추첨을 통해 선정됩니다. 선정 인원으로 선별된다면 5월에 첫 지원금을 받을 수 있으며, 격월로 계좌에 입금될 예정입니다.
청년월세지원 사업과 관련하여 문의사항이 있다면 청년월세지원 상담센터(02-2133-1337~1399) 또는 서울시 다산콜센터(120) 로 전화문의가 가능하며, 서울주거포털 내 청년월세지원 “1:1 문의”에서 온라인 문의도 가능합니다.
오늘은 청년들을 위한 서울시의 청년월세지원 사업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청년들의 독립에 대한 부담감을 덜기 위해 만들어진 서울시의 정책, 보다 많은 이들이 알고 도움받기를 바랍니다.